ABOUT ME

chatGPT & generative AI 활용기

Today
Yesterday
Total
  • [ChatGPT & Notion AI로 논문쓰기]Chapter 2. Generative AI의 능력은?
    ChatGPT&GenerativeAI 활용법 2023. 6. 29. 22:52

    논문 작성의 중요성

    논문은 왜 필요한가? 학생 때는 진리탐구를 위해,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쓰는 거라고 생각하던 순수한 생각도 했었고, 사회에 나와서는 실적을 채우기 위해, 승진을 위해 필요한 수단으로 사용 되는 것도 알게되고, 지금은 글쎄, 자존감, 자기 만족 등 여러가지 이유로 쓰는 목적도 다양하다. 너무도 당연한 이야기지만 논문은 연구 결과를 체계적이고 명료하게 표현하여 독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따라할 수 있게끔 작성되어야 한다. 또한, 논문을 통해 연구자들은 자신의 연구를 학술 커뮤니티와 공유하고, 이를 토대로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지식의 축적과 전파에 큰 역할을 하며, 학문의 발전과 사회의 혁신을 이끌어 낸다. 논문이 없었다면 인류가 지금만큼의 발전을 이루어 낼 수 있었을까.

     

    그래도 기본적으로 논문은 학술 연구를 얼마나 잘 계획하고 기술하느냐에 따라 그 가치가 정해지기 마련이다. 왜 연구자들은 스스로를 괴롭히면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기존의 연구 성과를 검증하는데 이토록 진심인가. 그 답은 여전히 미지수지만 오늘도 논문에 시달리는 대학원생, 학생, 전공의, 전임의, 교수들을 위해 새로운 저작도구를 소개하게 되었다.

     

    인공지능 기반 논문 작성 도구의 등장

     

    2022년 11월 OpenAI에서 공개한 ChatGPT는 세상의 많은 것을 바꾸어 놓았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실로 놀랍다. 이중 최근 가장 이슈가 된 것은 2022년 말에 공개된 chatGPT이다. 초거대AI, LLM(Large Language Model)로 인간이 대답하는 것과 매우 유사한 형태의 답을 주는 챗봇인데, 그 대답이 상당부분 훌륭해서 사람들의 입소문을 타고 여러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 문제가 되었던 것은 대학교 과제를 학생들이 chatGPT를 이용해서 하므로써 이를 규제해야한다, 아니다 오히려 적극활용해야한다는 사회적 이슈가 발생하기도 하였다.이는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지만, 사회 초반에 나왔던 새로운 기술이 등장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규제는 새로운 사용자의 니즈를 절대로 이길 수 없기에 ChatGPT의 활용을 막기엔 쉽지 않아보인다.

    ChatGPT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 vs 적극활용해야한다 두 가지 상반된 시선이 만들어낸 결과들

     

    ChatGPT와 Notion AI 소개

    ChatGPT와 Notion AI는 모두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한 논문 작성 도구이다. ChatGPT는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인간과 대화하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문장을 생성하는 기술이며, Notion AI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분석하여 논문 작성에 필요한 구조와 내용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술이다.하지만 ChatGPT와 Notion AI는 각각의 특징과 한계점이 있으며, 서로 보완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ChatGPT는 문장 생성에 뛰어나지만, 논문 작성의 구조화와 학술적인 표현에 한계가 있으며 Notion AI는 구조화와 내용 생성에 뛰어나지만, 문장 생성에 한계가 있다.

    기능 ChatGPT  Notion AI 
    아이디어 생성 키워드를 바탕으로 아이디어 제안 키워드 및 질문 분석을 통한 아이디어 제안
    문장 및 단락 작성 자연스러운 문장 및 단락 생성 텍스트 편집 및 구조 개선 지원
    문법 검사 및 교정 문법 오류 찾기 및 수정 제안 문법 검사 기능과 교정 도구 연동
    참고문헌 관리 인용문 생성 및 서식 지원 참고문헌 관리 및 서식 지원
    협업 지원 제한적 (개별 사용자 위주) 협업 기능 및 실시간 편집 지원
    피어 리뷰 및 피드백 내용 및 구조 분석을 통한 개선점 제안 리뷰 및 피드백 기능 제공 (사용자 간)
    통합 프로젝트 관리 논문 작성에 집중된 기능 제공 프로젝트 관리 및 진행 상태 추적 기능
    사용 편의성 간단한 사용법 및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복잡한 기능들을 포함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가격 및 가용성 OpenAI 서비스 구독 (일부 무료 사용 가능) Notion 서비스 구독 (무료 및 유료 플랜)

    이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할 수 있는 것은 크게 아래와 같다.

     

    1. 아이디어 생성

    주제에 관한 키워드나 질문을 분석하여 관련된 아이디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논문의 주제 선정 및 연구 계획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다. 학회 초록 제출 시기가 다가오면 다들 머리를 쥐어짜서 초록주제를 몇개씩 쏟아내야하는 전임의들에겐 이보다 더 좋은 브레인스토밍 기구가 없다. Ex)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에 낼 만한 초록 연구주제 10개만 뽑아줘.

    간담췌외과학회지에 낼만한 초록 주제 10가지를 chatGPT가 써주었다. 프롬프트지니를 통해 자동번역기능을 써서 한글로 질문하고 영어로 답을 얻고 다시 한글로 번역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2. 문장 및 단락 작성

    인공지능 언어 모델은 연구자가 작성한 초안을 분석하고, 자연스러운 문장과 단락을 생성하여 논문의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수 있다. 이를 통해 논문의 질을 높이고 독자들의 이해력을 높일 수 있다.

     ex)논문리뷰를 요청받거나, 외국인에게 메일을 보내는데 내용을 아무리 쥐어짜도 3줄을 넘기기가 어렵다면, chatGPT나 Notion AI에게 부탁해보라, 안부를 묻는 인사부터 원하는 내용을 수려한 영어로 써줄 것이다. 논문의 discussion 파트를 쓸 때도 마찬가지다. 원하는 톤과 내용을 포함해서 쓰도록 하거나, 본인이 쓴 문장을 주고 조금 더 “Professional, explainable” 하게 요청하거나, “British, American english”등을 선택할 수 도 있고, 문장을 조금 더 길게 혹은 짧게 “Make longer, shorter” 등의 프롬프트로 분량을 조절할 수 도 있다.

    논문의 초록을 요약해서 써주거나, 내용을 길게 혹은 짧게 쓰는 것도 Notion AI의 세부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3. 문법 검사 및 교정

    AI 도구는 논문의 문법 오류를 찾아내고, 적절한 수정을 제안함으로써 연구자가 문법적으로 완성도 높은 논문을 작성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다. 또한 크롬 확장프로그램 editGPT등을 이용하면 더 전문적인 교정을 해볼 수 있다.  ex)이미 Grammarly등에서도 제공하고 있는 기능이지만, Notion AI에서는 스펠링이나, 문법적 오류를 교정하는 기본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비싼 영문교정 사이트나 서비스 이용없이도 가성비 좋게 교정을 해볼 수 있다.

    크롬 확장프로그램인 EditGPT를 사용하거나, Notion AI의 Fix spelling & grammar 기능을 활용하면 영어문법 교정도 가능하다.

    4. 참고문헌 관리도?(쉽지않다)

    EndNote, Mendeley, Zotero는 논문 서지에 이미 많이 이용되고 있는 도구다. 안타깝게도 ChatGPT를 통해 논문검색을 하게되면 링크도 그럴싸하게 적어주지만 가보면 없는, 이른바 논문환각(Hallucination)현상이 발생하여 정확한 논문과 그 Reference를 찾지 못하는 것이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실제로 많은 연구자들이 ‘ChatGPT가 그렇게 좋다던데 한번써봐야지?’ 하고 마음먹었다가 이 부분에서 좌절하고다시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뒤에서 언급하겠지만, 고민을 하면 다 해결 방안이 있다.고로 질문을 잘하는 능력이 앞으로는 더 중요한 시대가 될 것이다.

    ChatGPT에게 논문을 검색해달라고 요청하면 왼쪽 창처럼 저자와 제목 연도 등 그럴싸하게 표를 만들어준다. 다만 그 링크를 타고 들어가보면 엉뚱한 논문이 나오게 마련이다.이를 논문환(Hallucination)이라고 하며 많은 연구자들이 좌절하고 포기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여기서 포기하지 말고 어떻게 하면 논문환각을 없앨 수 있는지 연구를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극복하면 연구의 효율이 매우 올라갈 수 있다.(자세한 팁은 뒤에서...)

    5. 피어 리뷰 및 피드백

     논문을 내기전 반드시 거쳐야 하는 리뷰의 단계가 있다. 저자도 많은 논문을 투고하면서 리뷰를 받아보기도 하고, 여러 논문을 리뷰하는 입장에서도 경험이 있지만, 논문리뷰를 통해 논문의 전반적인 질이 향상되는 것을 어렵지 않게 경험할 수 있다. 인공지능 툴을 이용하여 본인이 투고하기 전 한번 리뷰를 시켜보는 것도 (self review) 논문의 생각지도 못한 결점을 발견하거나,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좋은 경험이 될 것이다. 또한 격무에 시달리고 있는 교수들에겐 많은 논문을 꼼꼼하게 들여다 보기 어려울 때가 있는데, 이 도구들을 이용하면 빠르게 내용을 살펴보기에도 좋으며, 영문으로 작성하기 까다로운 리뷰 코멘트를 작성하는데도 매우 도움이 된다.

    논문 투고 전 Revision을 스스로 인공지능에게 시켜보면 생각지도 못한 약점을 발견할 수도 있다. 또한 논문 리뷰요청이 들어왔을 때 인공지능에게 먼저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리뷰 포인트를 적어달라고 해보자. 요청이 들어온 저널의 Editor 또는 Reviewer 역할을 부여하면 더 좋은 질의 답을 얻을 수 있다.

    이 도구들을 잘 활용하면 기존의 논문 작성 방식에 비해 더욱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논문 작성에 필요한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하여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논문 작성의 질을 높이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생각보다 생성형 AI도구들은 우리의 능력을 상회하는 매우 뛰어난 능력을 지니고 있다. 무언가 당신이 원하는 답을 얻지 못하였다면, 그것은 AI의 잘못이라기보단 정확한 질문을 하지 못한 우리의 잘못일 가능성이 높다.

    AI 가 만족스러운 대답을 내놓지 못했다면, AI의 능력부족이라기 보다는 내가 한 질문이 잘 못된 것일 가능성이 더 크다

    자. 그럼 하나씩 시작해보자(다음 chapter에서 계속)

Designed by Tistory.